사람답게 살게 보존과 개발을 조화롭게
경주 도심위기대책 범시민연대가 ‘2020년 경주시도시기본계획 변경안’ 확정을 앞두고 시가지를 사람이 사는 곳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보존과 개발을 조화롭게 병행할 것을 요구했다.
경주도심지역 39개 단체로 구성된 경주도심위기 범시민연대는 12일 오전 11시 경주청년회의소 2층 대회의실에서 300여명의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청회를 열고 경주시가지 고도제한 해제 등 10가지의 요구를 결의하고 적극적인 해결을 촉구했다.
도심위기 범시민연대가 요구한 내용은
△경주시가지 고도제한(10, 15, 20, 25m)을 전면해제하고 20층 고도로 해제할 것
△약 40면 전 시가지 고도규제 기준은 오늘날과 맞지 않기 때문에 폐지할 것
△경주역 이전 후 부지는 행정타운 및 컨벤션센터를 만들고 화랑로를 연장해 보문단지와 연결시킬 것
△농어촌도 살릴 수 있도록 역사 이전 후 KTX↔건천↔시내↔보문을 잇는 관광경전철을 개통할 것
△경주여중 이전 후 상공회의소 옆길↔북천강변로 연결
△구 시청사부지에 국제영화관 및 명품면세타운 조성
△성동·중앙시장의 ‘복합 상가아파트 재건축’으로 재래시장을 살릴 것
△도심의 ‘구 읍성복원’은 10만 주민 생존권을 죽이는 계획이므로 백지화 할 것
△죽어가는 도심 살려놓고 신도시계획(현곡·화천) 해도 늦지 않다
△관 중심이 아닌 시민중심의 도시재정비계획을 할 것 등 10가지다.
이들은 이 같은 내용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도시재정비계획의 전면거부운동과 반대관계자 퇴진운동을 하고 청와대에도 경주민생을 살리기 위해 궐기하기로 결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