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시외버스 터미널 있는 경주의 관문
읍성 남문 밖 큰길 서쪽마을 ‘노서(路西)’
노서동은 경주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마을로 금관총과 서봉총 등이 어우러진 노서동고분군 일대에서 서천내까지 펼쳐진 마을이다. 서울, 대구 방면에서 서천 큰 거랑을 건너 경주로 들어오는 관문에 해당하는 마을로 지금도 고속터미널과 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호텔, 여관 등 숙박업소들과 식당, 예식장들이 밀집해 있으며, 월성초등학교와 경주농협 등이 이 마을에 있다. 노서는 상가밀집지역으로 대부분의 주민들이 상업에 종사하거나 직장인들이다.
노서는 경주읍성 남문 밖에 위치한 마을로 본래 노동과 한 마을을 이루며 ‘성남방(城南坊-동경잡기에 기록)’, ‘남문밖’, ‘남바께’, ‘남문외’라고 불리다가 조선 태종 13년 계림부를 경주부로 개칭할 때 경주읍성 남문 밖의 큰길인 종로(지금의 봉황로)를 기준으로 그 동편 마을을 ‘노동(路東)’, 그 서편을 ‘노서(路西)’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 후 1914 행정구역 통·폐합에 의해 ‘노서리’, 1955년 경주시 승격으로 ‘노서동’이 되었다. 노서는 1973년 다시 노동동과 통합해 중앙동이 되었고, 1998년 중앙동(노동동, 노서동)과 성내동(동부동, 북부동, 서부동)을 병합하면서 중부동의 일부가 되었다.
노서동고분군에서 서천내까지
노서는 동쪽은 봉황로를 경계로 노동동과 남쪽으로는 내남사거리에서 고속터미널이 있는 서천교까지 태종로를 사이에 두고 사정동과 경계를 이루고, 서쪽은 서천내를 경계로 충효동과 북쪽은 옹기전골목을 사이에 두고 서부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 마을은 현재 중부동의 15통~21통을 이루며 7개통 33반으로 구획되어 있고 총 1천106세대에서 2천482명의 주민이 생활하고 있다.
15통은 월성초등학교 동쪽과 북쪽 일대로 258세대 563명, 16통은 월성초등학교 남쪽의 고분군 주변으로 99세대 238명, 17통은 중부동사무소 일대로 159세대 348명, 18통은 경주농협 일대로 151세대 311명, 19통은 고속터미널 북쪽일대로 190세대 415명, 20통은 서라벌예식장 남쪽일대로 138세대 308명, 21통은 시외버스터미널과 황실예식장일대로 111세대 299명이 각각 생활하고 있다.
이 마을 최고령자는 이주례(95) 할머니로 건강이 그리 좋지 않아 현재 요양원에 입소해 생활하고 계신다.
서천 건너 들어오는 관문에 ‘장성배기’
노서(路西) 경주읍성 남문 밖 큰길 서편에 있는 마을이라 ‘노서(路西)’라 불렀다.
동제 이 마을은 해마다 신라문화제인 10월 8일에 노서동고분군의 서봉총에서 고유제 겸 동제를 지낸다. 본래 신라문화제 때 금관총에서 지냈으나 지금은 서봉총에서 지낸다.
도장골(都將谷) 서봉총 북편 노동동과의 경계지점에 있는 마을로 도장골이라고도 한다.
장성배기 노서동의 서쪽 마을로 옛날에 이곳이 서천내를 건너 경주로 들어오는 관문이라 이곳에 장성(장승)이 박혀 있었다고 한다. ‘장성백이’라고도 한다. 지금의 황실예식장 부근 마을이다.
최초의 신라금관 출토
노서동고분군(路西洞古墳群) 노서동 동쪽에 있는 총 14기의 고분군으로, 통일신라 이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사적 제39호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금관총, 서봉총, 호우총 등이 이곳에 있다.
금관총(金冠塚) 최초로 신라 금관이 출토된 곳으로 유명하다. 이곳은 1921년 9월 주민이 집수리를 하다가 우연히 금관을 발견했다. 이곳에서 금관을 비롯하여 귀고리, 팔찌, 허리띠, 목걸이 등의 장신구와 칼, 화살촉, 투구 등의 무기, 유리잔, 칠기, 금과 은으로 만든 그릇과 초두와 마구(馬具)등의 많은 부장품이 나왔다. 금관은 국보 제87호로 지정되었고, 과대(誇帶)와 요패(腰佩)는 국보 제88호로 지정되었다.
서봉총(瑞鳳塚) 1926년 10월 9일 당시 스웨덴 황태자였던 구스타프가 신혼여행 길에 이곳에 들러 직접 발굴조사에 참여했으며 3마리의 봉황이 장식된 금관이 발굴되었으므로 스웨덴의 한자 표기인 서전(瑞典)과 봉황(鳳凰)의 앞 글자를 각각 따서 서봉총이라 했다고 한다.
보물 제339호로 지정된 금관을 비롯하여 금·은 귀고리, 목걸이, 팔찌, 과대, 요패, 청동초두 등이 나왔다. 함께 출토된 유물 중에 ‘연수원년(延壽元年)’ ‘신묘(辛卯)’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는 은제합이 나와 시기를 신라 제19대 눌지왕 35년(451)으로 추정하기도 하나, 이는 연호가 아닌 단순히 장수를 기원하는 글로 보는 사람도 있다. 이곳에서 발굴된 부장품은 일제 당국에 의해 금관과 금 허리띠 등이 전국 여러 도시에서 순회전시를 한 일이 있는데, 평양에서 전시한 뒤 요정에서 기생에게 금관을 씌우고 금 허리띠를 차게 하여 사진을 찍은 것이 신문지상에 보도되어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다.
신라무덤에 고구려 그릇
호우총(壺木干塚) 노서동고분군 남쪽 끝에 있는 신라 때 고분으로 1946년 국립박물관에서 발굴하였는데, 금제 귀고리, 팔찌, 허리띠와 옥으로 장식한 목걸이, 금동제의 관, 마구, 무기, 토기, 쇠솥과 함께 청동으로 된 그릇 및 호우가 출토되었다. 호우 밑면에는 ‘을묘년 국강상 광개토지 호태왕호우십(乙卯年 國岡上廣開土地 好太王壺玗十)’이라는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으므로, 신라 실성왕 14년(415)으로 추정된다. 글씨체가 만주 집안현의 광개토왕(廣開土王)비문과 같으므로, 당시 고구려에서 만들어 가지고 신라에 들어온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어떤 사람은 여기에 근거하여 이 무덤은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으면서 광개토왕의 총애를 받았다고 하는 눌지왕의 동생 복호(卜好)의 무덤일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당시 신라와 고구려는 문물의 교류도 많지 않았을 뿐 아니라 적대관계에 있었는데, 이곳에 광개토왕의 치적을 적은 유물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대단히 흥미롭다. 호우는 뚜껑달린 요강처럼 생긴 그릇으로 높이 19.4cm, 깊이 10cm, 몸통의 지름 24cm이다.
노서동 석불입상(路西洞石佛立像) 이 불상은 문헌상 삼랑사 남쪽 남항사 터에 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는 경주 시외버스터미널 북쪽 금아교통 차고지 한 쪽에 푹 꺼진 곳에 있다.
남항사는 신라 효소왕 때 삼랑사 주지 경흥스님과 한 노파와의 전설이 얽힌 사찰로서 효소왕 이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폐사의 시기도 알 수 없다. 이곳에서 북쪽에 삼랑사 당간지주가 남아있다.
이 석불은 훼손이 심해 확실한 모습은 알 수 없으나 가는 허리와 당당한 어깨, 광배, 옷매무새 등으로 미루어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불로 추정하고 있다.
주민들에 따르면 이 불상은 큰물에 떠내려 와서 지금의 자리에 세웠다고 한다. 따라서 제 자리를 찾아 옮겨야 한다고 한다.
고래장 노서동고분군 서쪽에 있는 석실고분으로, 훼손되어 드러나 있던 것을 근래 봉분을 쌓았다. 고분군의 가장 서쪽에 있는 작은 무덤이다.
미나리꽝이 도굴방지용
옹기전 읍성 남문 서편 회채도랑 가에 있던 옹기전 거리로 옛날 현곡 등지에서 옹기를 굽어 이곳에서 옹기를 많이 팔았던 곳이다. 지금은 옹기전이 2개만 남아있다.
동성로 월성초등학교 뒷길로 6.25때 피난 온 사람들이 이곳에 5평 내외의 일정한 줄 집을 지어 상점가를 형성했는데 미군 군수물자 등을 팔아 깡통시장이라고 했다. 70년대까지만 해도 교복점을 비롯한 상가들이 활성화되어 경주의 번화가였었다.
나무골 지금의 중앙지구대 뒤쪽일대가 나무를 팔던 시장이 있어서 ‘나무골’이라고 했다.
회채도랑 집경전 서쪽에 모인 읍성의 하수가 두 갈래로 갈라져 읍성둘레의 해자를 돌고 난 뒤 서천으로 들어갔다. 이 도랑을 ‘회채도랑’이라고 하는데 그 한 갈래는 북문-북부동-서천, 나머지는 동문-옹기전-서천으로 흘러갔다.
미나리꽝 월성초등학교 앞 고분군 주변에는 미나리를 심던 논이 있어 늘 물이 차 있었다고 한다. 이것은 도굴 방지를 위해 인공으로 조성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60년대까지 미나리꽝이 있었으나 박정희 대통령의 경주정비사업 일환으로 정비할 때 없어졌다.
서천교(西川橋) 노서동 서쪽에 있는 다리로 1926년에 세웠으며 1989년에 4차선으로 넓혔다. ‘서천공굴’, ‘서천걸다리’라고도 한다. 정월보름날 이 다리를 나이만큼 건너면 좋다고 해서 경주시민들이 이 다리를 건너다녔다고 한다. 이 다리가 놓이기 전에는 월성학교 앞길로 해서 지금의 황실예식장으로 해서 서천거랑을 건너는 징검다리를 통해서 김유신 장군묘 아래 큰 주차장을 통해서 제비고개(김유신장군묘역에서 내려오는 길) 넘어서 충효로 갔다.
고도제한 풀어야
노서동은 경주의 관문으로 시외버스, 고속터미널이 있는 교통의 요지이다. 도심이지만 서천을 끼고 있어 자연경관이 뛰어나고 주거지로 각광 받아온 지역이다. 그러나 최근 동천, 황성, 용강, 충효 등지에 대단위 택지가 조성되었지만 이곳은 고도제한으로 개발이 제한되어 상대적으로 낙후한 지역으로 전락해 어려움이 많다. 주민들은 고도제한을 풀고, 외곽지 관광객의 시내 유입을 유도해 중심상가의 활성화를 기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마을 출신으로는 이규학(71 부산 변호사), 권오찬(전 경주문화원장), 김정호(62 경북개발공사 사장), 김윤근(63 향토사학자) 등이 있다.
마을취재에 협조해주신 최정임 중부동장과 노서동 관계자여러분에게 감사드린다.
김거름삶
사진 최병구 기자/ 정리 이채근 기자
자문 허계수(족보도서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