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신청부지에 대한 조사 늦어져 발표 미뤄” 경주시가 혐오시설로 인식되고 있는 시립화장장 설치를 위해 각종 개발 인센티브를 조건으로 공모해 사업을 추진했으나 신청지역 주민들의 집단 반발과 조사가 늦어져 연기했다. 특히 이 사업은 시가 민원방지를 위해 야심차게 공모를 통해 실시했으나 주민들의 반발로 민원만 더 부추겼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의도는 좋았으나 추진은 미숙, 결국 반발만 부추긴 꼴=경주시가 사업 추진을 위해 3월 10일부터 4월 23일까지 45일간 신청지를 공모한 결과 개인과 단체, 법인 등 모두 11곳에서 사업을 신청했으며 지역별로는 강동이 6곳, 현곡·안강·내남·서면·용강지역이 각각 1곳이다. 그러나 각 지역별로 신청지가 드러나자 곧바로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일어났다. 경주시가 민원을 피해가려다 여러 곳으로부터 집단 반발을 당하는 형국이 됐다. 가장 조직적으로 반발한 한 곳은 서면지역 주민들. 서면지역에서 반발하던 주민들은 지난 5월 26일 경주시를 방문해 시 관계자와, 시원들을 만나 화장장 설치 불가를 요구하고 돌아갔다. 또 지난 19일에는 가장 많은 신청지역은 강동면 주민들이 집단으로 시청으로 몰려와 강동면에는 더 이상 혐오시설을 용납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강동면에는 이미 공원묘지 2곳과 납골당까지 있어 시립화장장까지 들어서면 혐오시설 천국이 된다는 것이 주민들의 반대 이유다. ▶추진에 어떤 문제가 있었나?=이번에 경주시가 추진했던 시립화장장 현대화 사업은 유치지역에 개발사업비 지원과 운영권 등 인센티브를 주고 공개적으로 공모를 했기 때문에 사업추진 초기부터 관심을 모았다. 그리고 11곳에서 신청하는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문제는 신청자들이 주민들과의 사전 협의도 없이 슬그머니 신청을 하면서 문제가 됐다. 결국 시는 직접적인 민원을 피하고 사업자가 해결하는 방법이 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부지가 선정되기도 전에 주민들이 집단으로 반발함에 따라 어렵게 됐다. 시가 이번 사업을 추진하면서 계획발표이후 사업자 신청을 받기 전에 각 지역별 여론수렴이나 사전 홍보가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에 주민들의 반발을 불러왔다는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리고 부지선정위원회의 구성도 문제가 있는 지적이다. 일부 지역 주민들은 특정지역 시의원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의 선거구에 집단민원을 생각해 공정한 선정이 가능한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해당 지역 한 주민은 “경주시가 공모를 하기 전에 지역에서 설명회만 가졌더라도 무리하게 신청하는 사람도 없었을 것이며 주민들도 이해하는 부문이 있었을 것”이라며 “결국 시가 일단 많은 지역에서 신청을 받았다는 성과에만 욕심을 부린 것 같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시립화장장 앞으로 어떻게 되나?=쏟아지는 민원 속에 경주시는 일단 한발 짝 뒤로 물러난 느낌이다. 시 관계자는 “시립화장장을 추진하면서 민원은 이미 예상했던 일”이라며 “25일 부지선정위를 열어 결정하기로 했던 것을 미룬 것은 아직 신청부지에 대한 조사가 늦어졌기 때문이며 이르면 7월 중순 또는 말경에 부지를 결정하게 될 것 ”이라고 해명했다. 이성주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