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주경실련)은 지난 19일, 진도 7.8의 대지진으로 수만명의 목숨을 앗아간 중국 쓰촨성 대지진과 관련해 원자력발전소가 밀집한 경북 동해권도 안전지대가 아니라며 경주지역에 ‘지진종합연구센터’를 건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경주경실련은 성명을 통해 “영남지역은 양산단층대를 포함한 7개의 대규모 단층대와 월성원전 주변에도 읍천단층을 포함한 크고 작은 6개의 활성단층대가 존재하고 있어 지질학적으로 극히 취약한 지역이며 특히 전국 55%의 고준위 핵폐기물을 보유한 월성원전 역시 안전지대가 아니다”며 “재난방지 대책과 위험시설물에 대한 상시 안전 및 예방대책을 강구해야 하며 이를 위해 경주지역에 지진종합연구센터를 건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주경실련은 또 “정부는 우리가 내진설계 강화를 요구하며 법원에 신청한 신월성원전 1,2호기 공사중지가처분에 대해서도 안전하다는 논리만 강조할 뿐 대책은 강구하지 않는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이 같은 정부의 인식변화 없이는 지진의 위험으로부터 우리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며 이번 중국 쓰촨성 지진을 계기로 미리 위험에 대비하는 유비무환의 자세로 지진종합연구센터를 건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경주경실련은 “국민의 정당한 권리요구에 정부가 또다시 무대책, 무관심으로 일관한다면 현재 신월성원전 1,2호기 내진설계 보강을 전제로 법원에 신청한 공사중지가처분을 건설취소 투쟁으로 전환할 것이며 2013년 수명 연장하여 사용할 예정인 기존 월성원전 1호기에 대한 사용기간 연장 반대는 물론, 중·저준위 방폐장 건설과 2016년까지 임시 저장된 고준위핵폐기물 전국 보유량의 55%에 대한 조기 대책 등에 대해서도 인근도시의 시민 사회 단체와 연대해 생존권 투쟁차원에서 대응 하겠다” 고 천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