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원전 1호기 재가동의 의미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효시인 고리 1호기 계속운전은 사실 지난 2년간 뜨거운 논란거리였다. 지역주민들은 오래된 원전의 안전성에 우려를 표했고, 환경단체 등의 반발로 안전성 논란이 있었다. 그러나 과기부가 원자력 안전위원회 심의를 거쳐 계속운전을 승인하였으며 한수원은 민주적인 방식으로 지역사회의 동의를 이끌어 내기 위하여 지역발전협의회를 구성, 적극적인 대화에 나선 결과 지난해 12월 기장군 및 울주군 서생지역 주민대표들로부터 고리 1호기 계속운전에 대한 동의를 얻어 냈다. 이는 그동안 국내에서 겪어왔던 많은 사회적 갈등에 대한 ‘밀어붙이기식’ 접근에 벗어나 민주적인 방식으로 지역사회의 동의를 이끌어 내어 재가동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다른 갈등해소의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과기부에 따르면 고리1호기 안전성 검토에서는 우선 일본, 유럽의 계속운전에 적용되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주기적 안전성 평가’(PSR, Periodic Safety Review) 기준과 미국의 `운영허가 갱신’(LR, Lisense Renewal) 기준을 모두 적용했다고 한다.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전기에너지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배럴당 100달러에 육박하고 화석연료가 지구의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주범으로 내몰리면서 현실적으로 원자력발전이 지구온난화에 대한 유일한 대안으로 원자력발전이 새롭게 조명 받고 있다. 오는 2012년부터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월성1호기도 국가경제발전과 안정적 에너지 공급이 될 수 있도록 지역주민과 원자력 관계자들의 이해와 협조로 계속운전이 추진되어야 하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