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주시 강변로 개설 공사구간인 3-B 공구에서 5만8천여t의 건설 폐기물이 발견된데다 이를 천군동 광역쓰레기장으로 주민들 몰래 반입하려다 발각된 사실은 실로 충격적이다. 특히 이같은 사실을 두고 뒤늦게 경주시 도시과와 환경보호과가 서로 `네탓`을 주장하며 책임 회피에 나선 행위는 지탄받아 마땅하다는 생각이다. 무엇보다 두 부서가 같은 법률을 서로 자신의 잣대에 맞게 적용하고는 발뺌에 나선 것은 더욱 큰 문제라는 여론도 잇따르고 있다. 경주시 환경보호과의 주장과 달리 도시과는 "이번 사태에 대해 이런 사실을 들은 적도 없고 그냥 허가가 났기 때문에 처리업자를 선정해 천군동 광역쓰레기 매립장에 매립할 계획이었다"며 "이에 대해 사전 천군동 주민협의체의 의견을 받을 필요는 없다"고 발뺌으로 일관,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지난 8월 발견된 이들 쓰레기는 70년대 후반께 쓰레기에 대한 성상 분류와 폐기물 처리에 대한 분리 배출이 없을 당시 버려진 것들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도 이처럼 각종 유독성 물질이 포함된 쓰레기를 무려 1백12억3천6백만원이나 들여 건설한 천군동 광역쓰레기장에 사전 아무런 성분 조사 없이 매립하려 했던 공무원들의 안이한 발상에 대해 경주환경운동연합측은 입을 다물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친환경도시로 발돋움 하겠다는 경주시의 각종 시책이 이번 사태로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들 부서는 자각해야 한다. 도시과는 특히 이같은 쓰레기를 5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별다른 조치도 없다가 뒤늦게 몰래 매립하려고 했다는 사실은 경주시 공무원들의 의식구조를 의심케하는 행위로밖에 해석되지 않는다. 특히 경주시는 최근 전국에서 가장 환경이 깨끗한 도시로 평가받고 있고 또 20일 도시대상을 받는 등 전국의 시선을 끌고 있는 도시로 알려져 있어 이번 사태로 인한 시민들의 자존심은 상할대로 상해져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