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동유럽시장 진출 추진”
법무법인 율촌의 우창록(54·연수원 6기) 대표변호사는 지난 9일 “해외투자업무와 방송통신, 환경규제, 문화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우 변호사는 “현재 국내에서 이 분야는 틈새시장이지만 선진국에선 시장규모가 큰 산업이기 때문에 율촌이 이 분야를 선점하고 조만간 시장이 커지면 법인의 성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 변호사는 법률시장 개방시대를 앞두고 “외국의 유명한 로펌들과 제휴 관계를 맺고 그들의 클라이언트(고객)가 국내에 진출하거나 율촌의 클라이언트가 해외에 진출할 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해 윈-윈 효과를 낼 것”이라며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지난 8월 베트남 호찌민 시에 사무소를 냈고, 장기적으로 중앙아시아와 러시아, 동유럽에도 사무소를 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 변호사는 율촌은 법률시장 개방시대를 앞두고 대형화라는 트렌드에 소극적이라고 알려져 있는 데 대해 “대형화를 안 하겠다는 입장은 아니다. 단 업무량이 늘어나면서 규모가 자연스럽게 커져야지 대형화 자체를 위해 확대 정책을 쓰면 비효율적이라고 본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외국 로펌과의 합병 가능성에 대해 “율촌은 매년 인원이 지속적으로 늘어 국내 변호사만 100명이 넘는 대형 로펌이라 중소형 로펌과의 합병을 원하는 외국 로펌에 매력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설립자인 우창록 변호사는 김앤장과 태평양, 세종 등 다른 로펌의 설립자와 달리 파트너 회의에서 토론하고 결정하는 민주적 로펌 운영 방식을 택한다. 그는 “설립자가 막강한 힘을 행사하는 로펌에서는 설립자가 나간 뒤에는 운영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 변호사는 연수원을 마치고 1979년부터 개업, 28년째 변호사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일찌감치 조세전문가로 자리 잡았다. 그는 가정형편이 어려워 장학금을 받으며 경주 문화고를 다녔고, 서울대 법대로 진학했다. 그는 고교 장학회 이사를 맡아 매년 장학금·행사비 등을 기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