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문제 신뢰가 바탕이 돼야한다
지역 12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경주방폐장지원사업 범시민연대가 지난달 초 논란이 됐던 원전의 지진 안전성 확보를 촉구하는 질의서를 청와대와 산업자원부, 과학기술부, 한수원에 보내 명쾌한 답변을 요구했으나 납득할 수 없는 회신에 반발하고 있다.
범시민연대가 답변을 요구한 것은 󰡐신월성 1, 2호기 건설에 있어 로심 기초부분이 약 40m 이동된 이유󰡑, 󰡐신월성 1, 2호기 건설을 추진하면서 1여년이나 공사가 중지된 이유󰡑 󰡐신월성 1, 2호기 부지에 연약층을 가진 단층대 존재 사실여부󰡑 󰡐지진공학센터 건립󰡑 등이다.
그러나 과학기술부에서 온 답변서는 󰡐수신자 란󰡑에 󰡐(사)부산광역시 기장군 청년연합회 회장󰡑에게 보내는 공문을 고치지 않고 범시민연대에 보내 공문의 기본도 지키지 않았는가 하면, 산자부는 고준위 폐기물 관련 답변만 보냈고 청와대와 한수원 측에서는 답변조차 없었다.
범시민연대는 󰡒답변 기간을 한 달 가까이 주었지만 기껏 내려온 것은 다른 지역의 단체이름이 적힌 공문이 온 것이 고작󰡓이라며 󰡒이는 경주시민들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기 때문이다󰡓고 성토하고 있다.
천년고도 경주에는 1983년 월성1호기 가동을 시작으로 2, 3, 4호기 원전이 건설돼 현재 4기가 가동 중에 있고 최근에는 신월성 1, 2호기 건설, 중저준위방폐장 착공, 전국의 고준위폐기물 중 53%를 임시저장하고 있는 원전과 관련된 모든 것들이 집중되어 있는 곳이다. 따라서 원전 및 관련시설과 함께 생활해야 하는 30만 경주시민은 신뢰할 수 있는 안전성 확보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있다.
경주시민들은 중저준위 방폐장이 경주로 결정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원전에 대한 관심도는 훨씬 높아졌고 늘 예의주시하고 있다. 따라서 원전에 관한 정부정책과 한수원의 태도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지금 경주시민들은 방폐장 유치이후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했던 것에 의혹을 가지기 시작했다. 이런 마당에 정부 관계부처의 이번 태도는 경주시민들이 당연히 분노할 만하다.
갈등의 소지가 있는 첨예한 사업일수록 상호신뢰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원전과 관련된 것은 경주시민 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나아가 전 세계적인 문제일 수 있기 때문에 정부와 한수원은 올바르고 투명한 업무 추진으로 경주시민과 함께 나아가는 최고의 성의를 보여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