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오,황남,중부,성동 통폐합(?) 해당 주민들 아직까지 ‘부정적’ 시, 충분한 여론수렴 후 추진 계획 경주시가 그동안 경주의 도심권을 형성하던 황오, 황남, 중부, 성동동을 통폐합하려는 분위기가 일자 도심권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경주시는 인구 2만미만, 면적 3㎢미만의 과소동 통폐합을 권하는 경북도의 지침에 따라 현재 해당이 되는 황오 황남 중부 성동동 등 4개 동을 통합하기로 하고 최근 각 동별로 지역 단체장들을 대상으로 여론을 수렴해 왔다. ▶과소동 통폐합 기준은=경북도의 지침에 따르면 인구 2만미만, 면적 3㎢미만의 과소동을 통폐합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도심권을 형성하고 있거나 과거에 번창했던 황오 황남 중부 성동동은 인구뿐만 아니라 면적에 있어서도 대상이 되기 때문에 4개 동을 하나로 묶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보덕동은 경주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동이지만 면적이 2만㎢가 넘기 때문에 통폐합 대상은 아니다. ▶4개 동 규모는=경주시 자료에 따르면 황남동은 1천488가구에 3천376명이며 면적은 0.83㎢, 황오동은 2천438가구에 5천649명 면적은 0.69㎢, 성동동은 1천935가구에 4천874명 면적은 0.64㎢, 중부동은 3천41가구에 7천78명 면적은 0.93㎢다. 4개 동을 모두 합하면 인구는 2만이 넘고 면적은 3만㎢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경주시의 입장은=경주시 관계자는 통폐합과 관련해 8월 6일 경북도 지침을 받고 8월 27일부터 9월 5일까지 각 동사무소별로 의견을 수렴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과소동 통폐합에 대해 시의회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제출했다고 밝혔다. 경주시 관계자는 “각 동별로 다소 의견 차이는 있었지만 아직 회의적인 입장이 많았으며 각 동에서 불가피하다면 조건부로 입장을 밝힌 곳도 있다”며 “시의회 간담회를 비롯해 여론수렴을 더 해 보고나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통폐합 언제까지=아직 정확한 일정은 없지만 경주시는 통폐합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정부의 지침에 따라 동사무소를 통폐합 하게 되면 남은 동사무소를 주민편의시설로 바꾸는데 지원된다”며 “앞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 큰 동으로 통폐합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통폐합 일정에 대해서는 “선거임 명부를 만들어야하는 이번 대선 전이거나 아니면 내년 총선 전이 될 수 있으며 아니면 그 이후에도 하는 3가지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밝혔다. ▶도심위기 대책 반발=표면상으로는 현재 도심위기대책 범시민연대가 가장 반발하고 있다. 범시민연대는 최근 성명서를 통해 “전 시민의 동의 없는 동 통폐합을 반대한다. 해당 주민들을 무시한 채 4개 동장에게 지시한 것에 대해 실망감을 금치 못한다”며 “만약 탁상공론으로 통폐합이 이루어진다면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수위를 높였다. 김성수 의원(중부 성동 성건 현곡)은 “오늘날 같이 도심을 피폐하기 만든 원인 제공자는 경주시”라며 “동장이 각 동의 관변단체 장들에게 의견을 받아 동향보고라고 했다. 시의회에도 아직 전혀 이야기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