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왕궁 월성 옛 모습 되찾나 복원 대상 권역 확보가 우선돼야 심포지엄 열고 정비·복원 토론회 신라왕궁인 월성을 정비 복원해 세계주의 또는 보편주의의 시각에서 상품가치를 적극적으로 부각해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월성관련 콘텐츠 개발과 유적이 문화 공간으로 거듭나는 방법을 함께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주시로부터 역사문화도시조성 선도 사업으로 추진 중인 월성정비·복원사업의 용역을 맡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지난 18일 경주 힐튼호텔에서 개최한 ‘경주 월성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 학술 심포지엄에서 장호수 충북문화재연구원 부원장은 이를 위해 “신라 왕궁인 월성의 정비 방안으로는 단기적으로 유적의 훼손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성 내부의 산책로 조정, 성벽위의 통행 제한, 불량시설물 철거, 구역 범위의 지정 등을, 중장기적으로는 월성의 권역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백상승 시장을 비롯한 문화재계, 관련학회, 지역문화재 인사 등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인 이날 심포지엄에는 장경호 문화재위원의 ‘경주 월성의 조사연구와 역사적 의의’에 대한 기조강연, 전덕재 경주대 교수의 ‘신라의 왕경과 왕궁’, 박방룡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의 ‘신라 도성유적의 발굴과 연구현황’, 장수호 충북문화재연구원 부원장의 ‘경주 월성의 정비·복원 및 활용방안’, 오현덕·신종우(국립문화재연구소)·정태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의 ‘경주 월성 내부의 지리물리탐사 중간보고’에 대한 발표에 이어 김윤근 신라문화동인회 부회장, 김태중 전 경주문화원장 등 문화재계, 학계, 관련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해 토론을 벌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