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발굴 인력확보 비상
방폐장 지원사업관련 사업들 발굴수요 급증
방폐장유치지역 지원사업규모가 윤곽을 드러내 대규모 건설공사가추진될 예정인 경주가 문화재 발굴이라는 복병을 만났다.
더구나 행정중심복합도시와 10개혁신도시, 6개 기업도시 건설이 한꺼번에 추진되고 있는 등 발굴 수요가 짧은 기간에 몰려 땅만 파면 문화재가 출토되는 경주로서는 사업차질이 우려 수준을 넘고 있다.
내년부터 시작될 방폐장유치지역 지원사업 중에는 신라궁성 유적발굴복원을 비롯해 황룡사지, 월성해자, 경주읍성 정비복원 등 이름만 들어도 발굴조사 규모가 어떠할 지가 짐작이 가는 사업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방산업단지 조성사업과 국도와 지방도 5개 노선 확장과 신설 등 각종 건설공사에서도 문화재 발굴은 불가피하다.
경주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화재 발굴법인의 규모를 보면 우려수준은 높아진다.
경주지역에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를 비롯해 대학 박물관과 신라문화유산조사단 등 11개 기관에 200여명의 전문인력이 고작이여서 현재 발굴수요에도 인력이 턱없이 모자라는 형편이다.
문제는 문화재보호법이 강화 돼 3만m2이상의 대규모 개발사업에 지표조사가 의무화 됐을 뿐 아니라 7천458만m2의 행정도시5천 830만m2 혁신도시, 1억390만m2규모의 기업도시의 추진시기가 모두 2015년까지여서 경주의 방폐장 유치지역지원사업의 추진시기와 겹치는데 있다.
타지역에서의 발굴지원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현재 활동중인 발굴전문인력도 차출될 가능성이 높다.
문화재청은 행정 기업도시의 경우 발굴조사를 줄이기 위해 지표조사과정에서 일부 굴착을 허용하고 지방문화재연구소의 조사기능을 확대한다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경주지역의 특성상 이 같은 방안은 무용지물이다.
경주시 등 관련기관은 문화재발굴 문제의 심각성을 미쳐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문화재 전문가와 건설업계는 “대학과 문화재연구소 등 관련기관 간에 신속한 협의는 물론 경주시가 설립한 신라문화유산조사단의 조직확대와 인력충원이 뒤따라야 지원사업이 발목 잡히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