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의 행정기구가 대폭 재편성된다. 경주시는 올해 1월1일부터 시행된 총액인건비제와 민선자치역량 확대 등 행정의 환경변화에 역동적으로 대처하고 시민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실적과 성과위주의 시스템으로 행정기구를 개편한다고 밝혔다. 경주시 행정기구 개편안에 따르면 역사문화도시 조성사업 및 문화재정비 분야를 일사불란하게 추진하기 위해 팀제를 도입하는 것을 비롯해 기존 국 편제의 순위를 조정하고 비대한 부서(과)는 분리, 유사한 부서는 통폐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본청 기존 4국 1단 26과 120담당을 4국 1단 29과 132담당으로 확대 개편하고 기획문화국, 자치행정국, 주민생활지원국, 건설도시국 국 편재 순위를 기획문화국, 주민생활지원국, 건설도시국, 자치행정국 순으로 개편할 계획이다. 그러나 시의 대대적인 행정기구 개편에 대해 업무향상과 공직사회의 변화를 요구하는 기구개편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종근 의원은 지난 31일 열린 의원 간담회에서 “일부 일을 열심히 하는 부서의 경우 이해가 가지만 변화를 제일 싫어하는 사람들이 공무원들이며 사고의 전환과 교육을 통해 혁신해야 한다”며 “이번 조직개편이 총액임금제 때문이라면 일 잘하는 사람은 (임금을)더 주는 효율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진구 의원은 “기술직 자리에 행정직과 기술직 둘 중에 누구나 장이 올 수 있도록 해 행정직 위주의 인사로 논란이 되고 있다”며 “기술직이 할 수 있는 부서에는 기술직만 하도록 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병준 의원은 “국책사업 유치 이후 경주에 사업을 하려는 사람들이 인허가 문제로 많은 애로를 느끼고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며 “인허가 업무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는 전담부서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상득 의원은 “모든 일은 시장에게 다 올라가는데 전결사항을 많이 만들어 결재라인을 줄여나가는 직제 개편을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경술 부시장은 “현재 조직개편안은 확정된 안이 아니라 시의회의 의견수렴을 위해 내 놓은 것”이라며 “퇴출제도를 도입하기 보다는 작년부터 시작한 인센티브제도를 더욱 강화하는 쪽으로 해 업무향상을 도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주시 이시우 총무과장은 “시의회의 의견을 수렴한 후 직원들에게 기구개편에 대한 의견을 받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고시했으며 결과에 따라 새로운 안을 만들어 다시 시의회와 논의를 하게 된다”며 “논의가 끝나면 입법예고를 하고 다시 의견을 수렴한 후 새로운 안을 만들어 의회에 승인을 받는 등의 절차가 남아있는데 빨라도 7월말은 되어야 개편안이 확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주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