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를 믿을 수 없다. 전시민이 투쟁을”
시의회-지원사업 안되면 원전관련사업 원천무효 강조
고문단-정확한 진단과 정보를 파악해 대정부 투장을
경주시의회 원전특위 의원들과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사업 범시민대책위 고문으로 위촉된 지역 지도자들이 지난 16일 경주시의회 소회의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범시민대책위원회 구성과 향후 대정부 투쟁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이날 간담회는 고문으로 내정된 19명의 고문 중 14명이 참석한 가운데 각자의 의견을 피력하는 시간을 가졌다.
시의회 원전특위는 방폐장유치지역지원사업 범시민대책위원회 임원진 구성, 지역 국회의원을 통한 산자부 장관 면담, 한수원 본사 규모 축소 없이 입주, 범시민대책위 출정식, 대시민 투쟁의지 홍보, 중앙부처 1일 시위, 궐기대회 개최 등 지원사업 확보와 관련한 향후 활동계획에 대해 참석한 고문들에게 설명하고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손동진 동국대 경주캠퍼스 총장은 “평교수 때에 경북도의 추천으로 실무위원회에 들어갔으나 연기만 되어왔지 지금까지 회의한번 개최한 적이 없었다”며 “개인적으로 경주시가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보고 크게 실망을 했다. 지원사업 요청은 돈의 액수가 문제가 아니라 앞으로 경주를 후손들에게 어떻게 물려주어야 하는지를 기획하고 했어야 했다. 지금이라고 장기발전 차원에서 기획되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용환 경주문화원장은 “이희범 전 장관이 한 말은 사람의 소리가 아니다. 장관의 말은 의미가 없다. 경주시민을 우롱했는데 이제는 어떻게 투쟁하느냐가 문제다”며 이제 정부는 더 이상 믿을 수 없고 경주시민이 단합해 투쟁을 해야 한다”고 정부를 성토했다.
이상효 도의원은 “앞으로 대정부 투쟁을 하려면 조직적, 법률적, 체계적인 방법으로 해야 하며 법률자문단도 있어야 한다. 그리고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시민들이 수용할 수 있는 상식선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방안을 제시했다.
박병훈 도의원은 “이제라도 시와 산자부, 한수원은 협의과정을 다 털어 놓고 해야한다”며 “긍정적인 답변을 들었다고 하는데 내용을 경주시민들에게 알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문화 경주대 총장은 “경주발전은 이번기회가 아니면 다시는 없을 것”이라며 “산자부 등 관련부서 외에는 지원사업과 관련해 별 관심이 없다. 총리실이나 대통령이 나서지 않으면 각 부처는 나서지 않는다. 대통령 선거가 있으니 다음 대통령이라도 약속을 지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진락 시의원은 “89.5%라는 높은 찬성률로 방폐장을 유치한 것을 좋을 수도 안 좋을 수도 있다. 특별법을 검토해보니 3천억원 지원 외에는 없었다”며 “경주시민들이 방폐장을 유치한 것은 저준위방폐장이 들어오면 고준위를 다른 곳으로 가져간다는 것과 3천억원+α 등을 믿고 호응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동 의원은 “투쟁목표를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신청한 것을 정부에서 받아달라고 하던지 일회성이 아닌 장기적인 사업을 얻어 낼 것인지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학철 의장은 이날 간담회를 마무리하는 자리에서 “정부가 시민들이 납득할만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월성1~4호기 안정성 확보 요구, 신월성 1, 2호기 추가건설 반대, 방폐장 공유수면 매립의 건 승인 불허 등 원전과 관련된 모든 사업에 대해 시의회가 제동을 걸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범시민대책위 고문은 정종복 국회의원, 최용환 경주문화원장, 이장희 주사랑교회 목사, 서동부 경주시개발자문위원연합회장, 손송호 대한노인회경주시지회장, 이성타 경주경실련 대표, 황대원 경주상의 회장, 하장순·윤위분 전 여성단체협의회장, 정덕희 전 경주시체육회 상입부회장, 김영두 경주교육삼락회장, 이상효·박병훈·장길화 도의원, 손동진 동국대 경주캠퍼스 총장, 정문화 경주대 총장, 한재숙 위덕대 총장, 신순철 서라벌대 학장, 최병준 경주향교전교 등 19명이며 정종복 국회의원과 서동부 회장, 이성타 대표, 장길화 도의원, 한재숙 총장은 이날 간담회에 불참했다.
이성주 기자
<lsj@gj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