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향이 남풍에 실리어 오솔길을 따라 잰걸음으로 북진하더니만 그만 시샘 한파에 주춤거린다. 철 일찍 꽃망울을 터트린 목련 꽃잎이 제대로 피지도 못해보고 찬바람에 얼어버렸다.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까지도 계절을 모르고 허둥대는 것을 보면 무언가 대책이 필요 할 성 싶다.     그 어느 날 ‘능감동천지귀신(能感動天地鬼神)’으로 유명한 향가가 서라벌에 퍼졌던 적이 있었다. 그 땐 어려운 일이 닥치면 앞 다투어 향가를 지어 불렀다. 그러면 언제 그랬냐는 듯 인간과 자연 모두 원래의 제 모습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지금 바로 향가가 필요한 때가 아닌가 한다. 사실 우리 모두는 향가가 무엇인지, 누가 불렀는지, 왜 서라벌 선인(先人)들이 그토록 애타게 향가를 찾았는지 모른다. 아니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 이 부분이 늘 가슴을 아프게 한다.      며칠 전 부산의 모 신문에 ‘한국하이쿠(俳句)연구원’에 관한 기사가 실렸다. 자세히 보는 순간 묘한 기분이 들었다. 왜냐하면 그 연구원이 천년신라의 고도 경주의 심장부에 문을 열었다는 것 때문이다. 다른 나라 시가를 연구하는 연구원이 생기는 것은 문화적으로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그러나 천년신라의 노래 향가의 역사를 오롯이 품고 있는 고도 서라벌에 향가와 관련된 연구원이나 연구소는 없고, 일본에서 17세기에 완성된 시가인 하이쿠 연구원이 생겼다고 하니, 솔직히 반가움보다는 아쉬움이 가슴을 저민다. 또한 우리의 무관심이 고도의 상징성을 가진 훌륭한 우리의 시가문학이자 정신문화인 ‘향가’를 너무 홀대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한번쯤 되돌아보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경주를 기행하다 보면 커다란 의문하나가 항상 길머리를 잡는다. 향가의 본향이라고 하면서 향가와 관련된 문학비라도 찾을라치면 무지 어렵다. 하나가 있긴 하다. 김알지의 탄생지로 알려진 계림에 가면 향가비가 있다. 앞면엔 충담사의 찬기파랑사뇌가가 원문으로 새겨져 있고, 뒷면은 향가에 대한 설명이 제법 자세히 적어져 있다. 반갑긴 하지만 왜 이곳에 향가문학비가 세워져 있는지 어리둥절할 뿐이다. 충담사와 관련된 유적을 찾아 그곳에 세워야 더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닐까. 귀정문은 찾기가 어렵다면 삼화령으로 추정되는 금오산에라도 세우는 것이 올바른 것이 아닌가.    최근에 반가운 소리가 들려온다. 경주엑스포 분수공원에 2000년부터 엑스포가 열리는 해마다 향가문학비를 세운다고 한다. 처음 ‘처용가’부터 시작했다고 한다. 도쿄의 재일교포가 주축이 되어 이 사업을 시작했다고 하니 고마움에 머리가 숙여진다. 그러나 여기에서 만족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앞선다.    향가문학비를 한 곳에 모아 놓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향가의 발상지를 찾아서, 문학비와 함께 노래의 생성 배경도 밝혀, 찾아오는 탐방객들에게 올곧게 설명해야 된다고 판단된다.    향가는 6~7세기에 전성기를 맞이했다가, 통일 신라 말기(진성여왕)에는 ‘삼대목’이라는 향가집이 발간되기에 이른다. 그 후 고려시대(10세기 중엽, 963~966년경)에 균여대사가 창작한 ‘보현시원가’ 11수가 현재 남아 있고, 11세기 전반(1021년, 현종) 신하들이 지은 ‘경찬사뇌가’ 11수가 있었다는 기록이 ‘현화사비음기(玄化寺碑陰記)’에 보인다. 이보다 100년 후인 12세기 전반(1121년) 예종이 지은 ‘도이장가’가 ‘평산신씨장절공유사’에 실려 지금 전하고 있다. 그 후 간간히 명맥은 유지하다가 시조 등 다른 장르의 발생으로 점차 소멸하였다고 할 수 있다. 혹자는 고려 의종 때 동래로 귀양 간 정서(의종 5년, 1151년)가 지은 ‘정과정곡’을 쇠잔기향가라고 하기도 한다.    이처럼 향가는 오랜 기간 동안 우리 민족과 생사고락을 같이한 문학 갈래라고 하는데 이견이 있을 수 없다고 하겠다. 지금이라도 제대로 대접을 해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향가와 관련된 유적지를 발굴하여, 작은 팻말이라도 세워야 한다. 더 늦기 전에 말이다.    황성공원에 가면 문학비가 여러 개 세워져 있다. 고려조 해좌칠현의 한명인 고창오씨 오세제의 문학비와 ‘무녀도’, ‘사반의 십자가’로 알려진 동리 김시종의 문학비, 그리고 목월 박영종의 ‘얼룩송아지’ 문학비가 나란히 서 있다. 산책하다가 느끼는 문향에 발길을 모으고 있다. 이왕이면 이곳에 향가문학비가 있었으면 하고 바라는 것이 비단 기자뿐일까? 아쉬울 따름이다.                          박 진 환 프리랜스 기자<pjw322@yahoo.co.kr>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