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미래 경주발전의 청사진을 제시하기 위해 2020년을 목표연도로 ‘경주시 장기종합발전계획’수립하고 있다.   대구경북연구원에 용역한 이 계획은 작년 6월부터 사업에 착수해 이달 말 공청회를 거쳐 오는 4월말 경에 납품할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의 발전가능성을 가늠해 미래를 구상하는 계획은 ‘도시기본계획’이 있으며 관계법령이 바뀌거나 도시발전에 불가피한 경우가 생기면 도시계획재정비로 보완하고 있다. 경주시는 1998년 ‘2016 경주도시기본계획’ 수립에 이어 2003년도에 ‘2020경주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한바 있다.   ‘경주시장기종합발전계획’은 지난 97년 이원식 전 시장이 2025년을 목표로 한 차례 수립한 적이 있고, 이번이 두 번째다.   경주의 발전목표를 정해 장기적으로 차근차근 실행에 옮기는 일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현실과 동 떨어진 구상이거나 이미 수립된  경주도시기본계획이나 경주역사문화도시조성기본계획과 서로 맞지 않는다면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던질 수밖에 없다.   이번 ‘경주시장기종합발전계획’은 현 시장의 경주발전 구상이 포함되기 때문에 시의 행정추진도 당연히 그곳에 초점이 맞춰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장기종합발전계획이 기존 계획과의 연계성이 없고 현실적인 문제를 면밀히 파악하지 않은 채 수립될 경우 실현가능성이 낮은 장밋빛 청사진에 불과하고 예산만 낭비할 뿐이다.   지금 경주는 ‘2020경주도시기본계획’, ‘경주역사문화도시조성기본계획(2034년)’, ‘경주역사문화도시 조성사업 타당성조사·기본계획 및 선도사업세부실행 기본계획 수립’, ‘경주시 장기종합발전계획’ 등 경주의 변화와 관련된 계획수립이 한꺼번에 맞물려 있다.   물론 모든 계획이 경주발전을 위한 것이란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경주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여건과 미래지향적인 계획이 조화를 이루는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경주시 장기종합발전계획이 경주발전의 초석을 다지는 정책안이 되기 위해서는 현실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보다 신중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 시 보조금 제대로 관리해야   경주시는 문화관광산업을 21세기 핵심전략산업으로 중점 육성하기 위해 전통문화예술의 전승과 보전, 공연전시예술행사의 활성화, 문화예술단체 지원육성 등을 위해 올해 29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했다. 경주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올바른 정책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그 속내를 들여다보면 걱정이 앞선다. 경주시가 예술단체에 보조금을 지급하면서도 이에 대한 관리 소홀로 소중한 시민혈세를 낭비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경주시로부터 연간 4억 원의 보조금을 받아 왔던 신라국악예술단이 최근 폐업했다. 신라국악예술단은 지난 92년부터 경주보문관광단지 상설공연장에서 1천500여회에 이르는 각종 공연을 주도하면서 경주의 대표적인 문화의 하나로 자리매김하도록 했으며 각종 해외공연 등 경주를 대외에 알리는 일에도 기여한 바가 크다. 그러나 단장의 장기집권에 따른 독선과 그 가족을 둘러싼 각종 잡음이 끊이지 않았고, 단원들의 불만이 높았으며, 늘 삐거덕거리는 위태로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이미 오래전부터 지역 국악계의 큰 걱정거리로 이러한 사태가 올 것은 진작부터 예견되었던 일이다. 결국 폐업이라는 극단적인 결과를 초래했고, 김 모 단장을 둘러싼 가족 간의 내분과 노동조합에 가입한 5명의 단원을 해고한 것이 발단으로 보인다.   신라국악예술단의 단원은 15명으로 10년 이상 근무한 단원의 월급이 고작 100만원이 조금 넘는 수준으로 열악한 근무조건에도 불구하고 활동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경주시로부터 막대한 보조금을 받아 온 단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지나친 처사가 아닐 수 없다.   여기서 한 가지 집고 넘어 갈 문제는 시민의 혈세를 보조금으로 지원해온 경주시는 사태가 이렇게 되도록 무엇을 했으며 또 어떤 기준으로 보조금을 지급했고 관리감독은 제대로 했는지 묻고 싶다.   역사문화도시 경주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도 특히 어려운 여건에도 우리 문화를 지키고 계승하려는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보조금 지급은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그 집행이 투명해야함은 물론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더욱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쓰여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