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 黃金千兩 未爲貴 得人一語勝千金        (황금천량 미위귀 득인일어승천금  황금 천냥이 귀한것이 아니라 남의 말 한마디 듣는 것이 천금보다 낫다. 145. 巧者 拙之奴 苦者 樂之母        (교자 졸지노 고자 낙지모) 재주있는 사람은 재주없는 사람의 노예가 되고 괴로움은 즐거음의 모체가 된다. 146. 小船 難堪重載 深逕 不宜獨行        (소선 난감중재 심경 불의독행) 작은 배는 무겁게 싣는 것을 감당하지 못하고 으슥한 길은 혼자다니기에 좋지 않다. 147. 黃金 未是貴 安樂 値錢多        (황금 미시귀 안락 치전다) 황금이 귀한것이 아니라 편안하고 즐거운 삶이 값진 것이다. 148. 在家 不會邀賓客 出外 方知小主人        (재가 불회요빈객 출외 방지소주인) 자기 집에 있으면 손님을 맞이하여 대접할줄 모르면 밖에 나갔을때 비로소 자기를 받아주는 곳이 적음을 알리라. 149. 貧居鬧市無相識 富住深山有遠親        (빈거요시무상식 부주심산유원친) 가난하게 살면 번화한 저자거리에 살아도 서울 아는 사람 없다.부유하게 살면 깊은 산골에 살아도 먼곳에서 찾아오는 친구가 있다. 150. 人義 盡從貧處斷 世情 便向有錢家        (인의 진종빈처단 세정 변향유전가) 사람의 의리는 가난에 따라 끊어지고 세상의 인정은 돈 있는 집으로 쏠린다. 151. 寧塞無底缸 難塞鼻下橫 .        (영색무저홍 난색비하횡) 차라리 밑 빠진 항아리는 막을 수 있지만 코 밑에 가은 노인 입은 막기 어렵다. 152. 人情 皆爲窘中疎        (인정 개위군중소) 사람의 정은 모두 조색한 가운데서 멀어지게 한다. 153. 史記 曰 郊天禮廟 非酒不享 君臣朋友 非酒不義        (사기 왈 교천예묘 비주불향 군신붕우 비주불의         鬪爭相和 非酒不勸 故 酒有成敗而不可泛飮之        (투쟁상화 비주불권 고 주유성패이불가봉음지) 사기에서 이르기를 하늘에 제사 지내고 사망에 제사 지낼때 술이 아니면 받지를 않는다. 임금과 산하, 벗과 벗 사이에도 술이 아니면 친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술에도 성공도 있고 실패도 있으니 함부로 마셔서는 안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