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역사문화도시조성사업의 타당성과 기본계획 및 세부실행계획에 대한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국토연구원의 용역 결과에 따르면 고분공원조성, 역사문화관건립, 신라의 길·전통화원 조성, 도시경관개선 등 4개 사업을 우선추진사업으로 선정했다.
노동·노서고분군과 대릉원을 대상으로 하는 고분공원조성계획은 경주 중심부에 있으면서도 활용도가 떨어졌던 고분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고분전시관과 모임광장, 고분놀이마당, 풍물마당 등을 만들고 (구)시청사 일대에 역사문화와 관광의 복합기능을 할 수 있는 역사도시문화관을 구상했다.
그리고 대능원에서 안압지까지를 ‘신라의 길’, 동부사적이 일대에 전통화원을 조성하고. 교촌와 황남동에 한옥마을, 봉황로에 문화의 거리 등을 조성해 도시경관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우선추진 선도사업은 도심의 봉황로와 고분군, (구)시청사 일대, 대릉원, 동부사적지, 월성을 연결하는 것으로 경주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보여 주겠다는 것이다.
많은 연구 끝에 내 놓은 안이겠지만 한마디로 실망스런 결과물이 아닐 수 없다. 원 줄기에 해당하는 핵심적인 사업은 외면하고, 곁가지에 불과한 부수적인 사업들에 초점이 맞춰진 계획이기 때문이다.
경주역사문화도시조성사업은 신라천년 고도 경주가 가진 역사성과 문화적인 우수성을 최대한 살려 세계 어디에 내 놓아도 손색없는 경쟁력 있는 역사문화도시를 조성하겠다는 거대한 계획이다. 따라서 가장 한국적이면서도 세계적인 문화유적들과 경쟁할 수 있는 황룡사와 9층 목탑, 월성과 궁궐, 경주읍성 같은 경주의 핵심적인 주요 유적들에 대한 발굴 복원이 가장 기본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공원, 문화관, 화원, 도시경관 등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사업 100개 보다는 황룡사나 월성 1개 복원이 100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안다.
따라서 경주역사문화도시조성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이를 추진할 예산확보를 어떻게 할 것이냐에 대한 연구가 더 중요한 과제다.
정부는 경주시민을 더 이상 우롱하지 말고 경주역사문화도시조성사업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서두르고 이 사업을 제대로 추진할 수 있도록 예산 확보에 노력해 주기 바란다.
방폐장 ‘빛 좋은 개살구?’
주민들 간에 첨예한 갈등 끝에 결정된 한수원 본사 이전이 문화재 조사와 절차상 문제 때문에 늦어지는 것은 물론 그 규모가 축소되고, 본사 사택과 협력업체 이전도 불확실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수원이 지난달 산업자원부에 보고한 이전계획 확정내용에 따르면 양북면 장항리로 옮길 경우 본사 부지면적은 4만7천여 평, 시설면적은 2만3천 평 규모다. 이는 당초 계획보다 대폭 축소된 것이다.
한수원 본사 이전 시점도 당초 계획의 특별법상 완료시점인 2010년 10월보다 31개월이나 늦어지게 된다. 또한 사택과 협력업체들의 동반이전도 불투명한 상황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수원 관계자는 지난 13일 모 대학 세미나에 참석해 “1만2천 평에 1천여 가구로 예정됐던 본사 사택은 노사특별위원회를 만들어 집단주거를 포함해 전세나 개별 이주 등 다양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혀 사택건설이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고 협력업체 이전에 대해서도 해당업체에 맡기기로 해 두산중공업의 원전분야 본사 이전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침체된 경주를 살리겠다는 결단으로 유치했던 방폐장, 그 결과는 전혀 예상 밖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렀음에도 경주시와 경주시의회는 한수원 본사 이전 갈등 후유증으로 어떠한 행동도 취하지 못하고 있다. 줄건 다 주고 결국 얻는 게 없는 그야말로 ‘빛 좋은 개살구’는 아닌지 자문해 볼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