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시립도서관의 열람실 이용시간을 늘려야 한다는 여론이 잇따르고 있다. 현재 시립도서관의 도서 대출시간은 오후 6시가 마감 시간인데다 일반 열람실도 오후 8시까지로 제한돼 있다. 이 때문에 늦은 시각까지 책을 읽거나 공부에 전념하는 대다수 독서가들은 30분전부터 서둘러 책을 반납하고 귀가할 수 밖에 없어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김모씨(70. 황성동)는 "매일 도서관 열람실에서 책을 보고 있으나 오후 7시30분만 되면 직원들이 청소를 시작해 더 이상 책을 볼 수 없다"면서 불만을 나타냈다. 이 도서관을 자주 찾는다는 정모씨(48. 황성동)도 "인근 포항과 영천시의 경우 밤 10시까지 도서관의 일반 열람실을 개방하고 있다"며 "경주시도 1시간 가량 연장하면 시민들의 불편이 크게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도서관 관계자는 "직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밤 늦게까지 시간을 연장하면 학생들의 귀가에 위험이 뒤따르고 열람자도 적은데 반해 전기가 낭비되기 때문에 시간 연장이 불가능하다"고 해명했다. 시에 따르면 시립도서관이 야간 10시까지 연장 근무할 경우 직원 4명이 더 필요하고, 현행 도서관법에는 장서 6천권당 사서직 1명을 둬야 하는데다 면적 330㎡당 사서직 1명을 추가해야 하는 등 이같은 실정으로 미뤄 현재 경주 도서관의 직원은 턱없이 부족한게 사실이라는 입장이다. 이와관련, 한 시민은 경주시에 청원서를 제출하고 "직원이 부족하면 공익요원의 지원을 받거나 직원 1명이 추가로 야간 근무에 들어가면 해결될 수 잇는 문제"라며 "도서관 담당 직원들이 야간 근무를 기피하는 것은 공직자의 도리가 아니다"고 반박하고 있다. 한편, 대구의 중앙도서관은 밤 10시, 부산의 서동 도서관 밤 10시, 영천 시립도서관 밤 10시, 울산 중구도서관 밤 10시 또 포항 시립도서관의 경우도 대부분 밤 9시까지 연장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들 도서관의 경우 야간 근무자도 당직 1명과 특근 1명이 도서관에 상주,근무중인 것으로 조사돼 경주시립도서관의 이같은 해명은 근거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