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서 박사학위 받아  김진태 재경천북향우회장(파이낸셜뉴스 상임고문)이 2월 서강대에서 사회정책 전공(논문 제목 : 한국사회에서 국민연금의 민영화 가능성에 대한 담론적 고찰)으로 박사학위를 받는다. 요즘 국민연금문제가 우리 사회의 최대 이슈로 부각하는 시점에서 그의 논문은 크게 주목을 받는데 ‘기금 고갈’의 위험성을 불식시키는 민영화 주장이 요지다.    그동안 사회복지나 경제학적 측면에서 일부 학자들이 민영화를 언급한 적은 있지만 사회학적 시각에서 체계적으로는 처음 발표하는 것이어서 정부나 학계에서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21세기 한국사회에서 국민연금은 과연 무엇인가? 단순히 ‘사회복지’를 통한 노후생활을 보장해주는 제도 그 자체로서 ‘지금 현재’ 존재하고 있는가? 사실 조금이라도 세상사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연금’이라는 것이 분명 최대 ‘이슈’로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그렇다면 중요한 것은 이슈가 어떠한 차원에서 다루어지고 있느냐는 것이다. 쉽게 생각해 보자. 국민들은 연금이 무엇인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왠지 모를 ‘손해’의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물론 본 논문에서 이를 일차적으로 확인했음은 당연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연금제도 형태, 즉 ‘부과형(pay as you go)’ 연금제도에 대하여 과연 누가 “국민들이 실제로는 이 제도를 매우 부담스러워 하고 있으니, 자신이 납부한 연금액을 보장 받을 수 있는 다른 형태로의 제도적 변화를 추구해보자”라고 주장할 사람이 있겠는가? 이러한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모두의 노후를 보장해야 하며, 모든 사람의 삶의 질을 고취시킬 수 있는 분배의 미덕을 알아야 하는데, 어떻게 그러한 ‘신자유주의의 기생충’인양 행동할 수 있느냐?”라는 사회적 담론을 헤쳐나 갈 수 있을까?    그는 이 논문에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칠레의 민영화 사례’를 예로 들면서 세계적 연금전문가의 직접적인 인터뷰를 통해 민영화 가능성을 사회구성원들로부터 추출해내고 있다. 따라서 ‘민영화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봉쇄되어 있는 학계의 흐름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 할 수 있다.    지난 3일부터 일주일간 미국 레리 프레슬러 상원의원 초청으로 ‘세계 지도자회의’에 참석하는 김 회장은 백악관과 유엔본부에서도 각국 지도자들과 남북문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기위해 참석중이다. 그는 천북면 갈곡리 출신으로 문화고를 졸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