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300억→1천600억→2천억원(?) 시의회 “부지매입비와 조성비 증가 할 것”   ‘1천300억→1천600억→2천억원(?)’ 건천읍 화천리와 모량리 일대에 들어서는 양성자기반 공학기술 개발 사업에 대한 경주시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양성자가속기 사업과 관련 경주시는 당초 토지매입비(15만4천여평), 부지조성 및 기반시설, 연구시설지원 등 1천300여억원의 시비부담 예상했다가 최근에는 1천604억원을 잠정 사업비로 책정했다.    그러나 지난 8일 열린 경주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 공유재산관리계획변경안 심사에서 지가 상승과 과다한 부지조성비로 2천억원이 넘는 예산을 경주시가 부담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진락 의원은 “건천읍 주민들을 만나본 결과 현 시가가 평당 40~50만원 한다고 기대하고 있는데도 경주시는 평당 13~15만원 정도로 추측한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이 가지 않는다”며 “만일 경주시의 기대와는 달리 토지매입비가 증가한다면 양성자가속기 사업으로 경주시가 부담해야 하는 예산은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의원은 “법적으로 부지매입 추정치의 30%를 초과하면 매입을 할 수 없다”며 “시는 처음부터 실속 있는 이야기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국책사업추진지원단 이종갑 기술지원과장은 “매입부지 중 임야 70%, 농지 30%로 임야는 평당 10~15만원, 농지는 20~30만원을 예상하고 있다”며 “1천600억원이면 양성자가속기 사업을 할 수 있으며 만일 매입가가 추정치의 30%가 넘으면 시의회와 재협의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또 부지조성비 추가비용 발생에 대해서도 의혹을 제기했다. 이 의원은 “5만4천여평의 부지조성비가 평당 40만원으로 총 240억원으로 잡혀있는데 앞으로 전체조성부지(13만여평)를 하려면 600억원이 예상된다”며 “(계획보다)부지매입비도 3배, 부지조성비도 3배가 되면 뒤탈이 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종갑 과장은 “부지조성비의 경우 5만4천여평에 100Mev를 하는 비용이며 나머지 추가로 하는 8만여평의 1,000Mev 사업의 부지조성비는 경주시가 부담하지 않아도 된다”며 “부지는 10만평 이상을 제공해야 하지만 부지조성비는 더 늘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이날 심사한 ‘2007년도 공유재산관리계획변경안’을 보류시키고 다음 회기로 넘겼다.  경주시 자료에 따르면 2006년~2015년까지 추진되는 양성자가속기 사업은 총사업비 2천890억원으로 정부가 1천286억원, 시가 1천604억원의 사업비를 부담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시 부담 사업내용은 토지매입비 248억원, 지장물(건물, 분묘 등) 47억원, 부지조성(5만4천450평) 및 기반시설비 461억원, 연구지원시설비(7개동, 1만3천165평/구내도로 및 조경 등 부대시설) 848억원 등 총 1천604억원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