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의회가 국책사업추진 및 원전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활동에 들어갔다. 방폐장 유치 이후 그 동안 경주는 양성자가속기 부지선정에서부터 한수원 본사 부지 선정에 이르기까지 지역 간, 시민과 시민 간 심각한 대립과 갈등을 보여왔다. 한수원 본사 부지가 결정된 지금 시민갈등을 해소하고 정부가 약속했던 유치지역 지원사업을 효율적으로 이루어 내는 일에 경주시의회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것은 잘한 일이다.
특히 방폐장 유치를 위해서 지난 제4대 경주시의회가 앞장서서 시민들에게 약속했던 각종 사업들에 대한 실행을 제대로 마무리하기 위해서라도 마땅히 경주시의회가 나서서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주어야 한다.
그러나 특위가 구성단계에서부터 한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잡음이 흘러나오고, 활동 초기부터 의원들의 참여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걱정스럽다.
끝없는 나락으로 떨어지는 경주 경제를 회생시킬 수 있는 길이 방폐장 유치라고, 그래서 방폐장만 유치하면 곧 팔자라도 고칠 수 있을 것처럼 시민들에게 높은 기대감을 갖게 했던 데 대한 책임의 일부를 경주시의회도 져야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기대치와는 거리가 먼 형편없고 초라한 유치지역 지원사업에 대한 내용이 알려지면서 일부 시민들 사이에서는 벌써부터 방폐장을 차라리 반납하는 게 옳지 않느냐는 이야기가 회자되고 있다. 또 한수원 본사 유치과정에서 보인 동·서주민들 간에 심각한 갈등도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경주발전의 중대한 전환점에 서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특위는 지금보다 더 높은 사명감과 적극적인 활동으로 모범을 보일 때 시민들도 동참하고 함께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