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투 ‘6인 6색’… 저마다 “유머 감각 키우자”
이명박 직설적이고 카랑카랑… 경험 중심으로 얘기
박근혜 품격있고 세련… 말 실수 거의 없어
고 건 방송 NG 안 낼 만큼 정확… 재치로 분위기 유도
손학규 논리적이고 문어체… 영화 대사 사용으로 순화
정동영 강약완급 탁월… 데이터나 숫자 많이 이용
김근태 신뢰감 주지만 경직… 직설·단문 표현에 주력
정치 리더십의 핵심은 흔히 ‘말’과 ‘일’로 풀이된다. 국민을 감동시키는 말을 통해 국력을 한데 모으고, 이를 바탕으로 일을 해나가는 게 리더십의 요체라는 의미에서다. 미국인은 라디오와 TV가 없던 시대 명연설로 남북전쟁의 후유증을 치유한 링컨, 라디오의 노변담화를 통해 대공황과 전쟁의 위기를 넘긴 루스벨트, TV 연설을 통해 위대한 미국의 시대를 연 레이건을 3대 웅변가로 꼽는다.
‘위대한 커뮤니케이터(Great Communicator)’로 불린 레이건은 항상 유머를 잃지 않으며 좌절 속에서도 희망을 얘기했다. 1981년 저격당한 후 태연히 “피하는 것을 잊었어”라는 농담을 건넸고, 1986년 우주왕복선 챌린저호가 폭발했을 때 “모든 것이 끝나지 않았다. 우리의 희망과 여정은 지속된다”는 말을 남겼다.
2007년 대선을 맞는 한국의 유권자에게 차기 주자의 말과 말솜씨는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 정치에서 말이 중요하다는 원론적인 의미도 의미지만, 지난 4년간 대통령의 거친 말에 시달린 경험 때문이다. 노무현 대통령의 ‘분노의 화법’은 국민을 이리저리 갈라놓으며 소모적인 논란만 불러왔다. 국민을 다시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감동의 언어’가 어느 때보다 절실한 이유다.
차기 주자 6명의 말솜씨만을 비교하면 달변가와 눌변가로 나눌 수 있다. 예컨대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의 경우 대표적인 달변가에 속한다. 화려한 수사와 비유를 앞세워 대중을 쥐락펴락하는 그의 언변은 정치인으로서 큰 재산 중 하나다. 반면 열린우리당 내 경쟁자인 김근태 의장의 경우 눌변이라는 인상이 강하다. 측근들조차 “제발 쇼맨십을 발휘해서라도 말을 좀 잘하시면 좋겠다”고 아쉬워한다. 김 의장의 어법은 소박하고 신뢰감을 주는 장점을 가진 반면 어눌한 듯하고 경직돼 있는 화법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차기 주자 중 선두를 달리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경우는 “눌변에 가깝다”는 게 측근들의 말이다. 기성 정치인이 구사하는 매끈한 말솜씨와는 차이가 난다는 얘기다. 본인 스스로 “앉아서 말만 하고 사람이나 모아 몰려다니는 정치꾼”이라고 비판할 만큼 ‘말만 앞세운’ 기성 정치권을 불신해왔다. 정치는 말로 하는 게 아니라는 주장이다.
이 시장의 목소리는 탁하고 갈라진다. 쇳소리가 섞인 카랑카랑한 목소리가 인상적이지만 대중연설을 하면 귀에 거슬린다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목소리가 좋지 않다고 할 말을 못 하는 건 아니다. 이 시장의 연설 스타일은 ‘스토리형’이다. 자신이 직접 겪은 현장 경험과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얘기를 풀어간다.
화려한 수사와 비유는 없지만 청중과의 교감과 설득력은 뛰어나다는 게 측근의 주장이다. 일종의 콘텐츠로 승부한다는 뜻이다. 어린 시절의 가난과 샐러리맨으로서의 성공스토리 등 극적인 인생 자체가 최대의 연설 소재라는 것이다.
연설 전에 스피치 담당자들로부터 연설문 초안을 받지만 별로 의지하지는 않는다. 꼼꼼히 읽어보고 자신의 스타일대로 뜯어고친다고 한다. 메모 한 장과 손목시계 하나를 마이크 옆에 놓고 별다른 준비 없이 편안하게 연설하는 경우도 많다. 속에 있는 말을 다 하려고 하기 때문에 연설시간을 넘기는 일이 잦다. 작년 6월 서울시장 퇴임 후 그는 청년의 꿈과 도전, 대한민국의 비전을 단골 주제로 강연 정치를 해왔다.
박근혜 전 대표와 고건 전 총리의 경우는 달변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안정감을 주는 말솜씨가 장점이다. 박 전 대표는 올해로 정치 입문 10년을 맞지만 그 동안 단 한 번도 설화(舌禍)에 시달리거나 구설수에 휘말려본 적이 없다. 다른 대선주자처럼 “진의가 잘못 전달되었다”는 식의 해명을 해본 일이 없다고 한다. 박 의원의 한 참모는 “말 실수가 없다는 것이 박 대표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강조한다.
말 실수가 없다는 것은 다른 말로 하면 다변(多辯)이 아니라는 뜻이다. 박 전 대표는 핵심을 찔러 짤막하게 말한다. 지난해 지방선거 때 피습으로 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직후 “대전은요?”라고 짤막하게 던진 질문이 박빙의 판세를 완전히 뒤집었다.
박 전 대표는 정치에 입문한 이래 자극적이거나 상스러운 표현도 써본 일이 없다. 박 전 대표는 참모들이 연설문에 공세적이고 자극적인 문구를 쓰면 본인이 직접 이를 지우고 점잖고 품위 있는 말로 바꾸곤 한다. 참모들이 자극적인 언사를 요구할 때마다 “세련된 언어 표현을 써야 정치의 품위가 살아난다. 품격 없는 발언을 해 정치의 질을 낮춰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고건 전 총리의 경우도 오랜 공직생활에서 얻은 차분한 말솜씨가 인상적이다. 정확하고 신중한 용어 구사가 장점이다. 비교적 낮은 톤에다 말의 속도도 빠르지 않지만 과거의 다양한 행정 경험이 묻어나는 말에서 중량감이 느껴진다. 반면 대중을 휘어잡는 연설에는 다소 약하다.
측근들은 “대중 선동보다는 소규모 그룹과의 대화에 능하다”며 “소규모 그룹과 대화할 때는 재치 있는 유머를 구사해 청중을 사로잡는다”고 말한다. 다소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는 말을 특유의 유머로 커버한다는 말이다.
그의 유머 감각을 보여주는 일화가 적지 않다. 탄핵정국에서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던 2004년, 그가 스스로를 ‘권한대행’이 아니라 ‘고난대행’이라고 표현한 것도 그 중 하나다. 대통령의 권한은 정지돼 있고, 처리해야 할 국가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스스로의 입장을 ‘고난대행’이라고 표현한 것.
“지하철은 땅 속에 있어서 잘 안 보인다”는 말도 그가 남긴 유머다. 그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청계천은 뜨는데, 고 전 총리의 서울 지하철은 왜 안 뜨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민선시장을 맡으면서 서울 2기 지하철 5, 6, 7호선을 동시에 착공해 건설했다”며 “매일 1000만명이 이용하고 있지만 땅 밑에 있어서 잘 보이지 않는 것 같다”고 답해 좌중의 웃음을 자아냈다.
“나누기 정치”도 그의 유머감각이 묻어나는 용어다. 그는 우리 정치의 현실을 진단하면서 “가장 큰 문제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국민을 편가르고 분열시키는 것이다. 나눔의 정치가 아니라 나누기 정치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