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부처 검토결과 118건 중에 6건만 수용 시민들, “방폐장·원전사업 두고 보자”   경주시가 중·저준위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요청사업비로 정부에 요청한 예산이 대부분 수용불가로 드러나 경주시민들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경주시는 지난해 6월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요청사업으로 118건에 8조8천526억원을 신청했다. 그러나 지난 17일 경주시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62건에 5조106억원에 대해서는 정부 각 부처가 수용불가 판정을 내렸고 6개 사업 6천542억원은 장기검토 대상사업으로 분류해 사실상 전체 사업 중 64%인 5조6천648억원이 제외됐다.    그리고 지원요청사업 중 각 부처가 수용하기로 한 것은 6개 사업에 3천512억원에 그쳤고 이마저도 방폐장 유치지원요청사업으로 추진하지 않아도 진행될 양북면 봉길리~어일리간 우회도로 건설(319억원), 양북 대종교~감포 전촌 확포장(1천650억원) 하수도 슬러지 처리시설 건설(165억원) 등으로 경주시민들은 방폐장 유치에 따른 기대효과는 사실상 물 건너갔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    또 정부가 조건부로 수용한 36건 1조5천553억원과 일부 수용한 사업 8건 1조2천813억원도 정부 관련부처에서 예산확보가 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경주시 국책사업추진지원단 관계자는 “아직 실무위원회와 유치지역지원위원회가 열리지 않아 최종적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경주핵대책시민연대는 지난 18일 성명서를 통해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사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은 국민을 우롱하고 경주시민을 무시한 것으로 국책사업의 신뢰성을 스스로 무너뜨린 것”이라며 “처음 약속한 에너지박물관, 컨벤션센터, 종합축구경기장과 직원 사택 건립 등을 시행하지 않으면서 한수원 본사이전문제가 마무리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만한 착각이다”고 성토했다.    경주희망시민연대도 지난 19일 “정부가 19년동안 골머리를 앓아오던 방폐장 건설 사업을 경주시민들이 89.5%란 높은 찬성률로 수용한 것은 경주발전을 약속한 정부와 한수원 측의 약속을 믿었기 때문”이라며 “만일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요청사업이 약속대로 지켜지지 않으면 전 시민이 단결해 방폐장 철회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더 이상 경주에서는 원전 관련 사업은 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경주시의회는 오는 24일 전체 의원 간담회를 열고 집행부로부터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요청사업에 대한 보고를 받은 뒤 대응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