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화관광도시가 경주의 미래상 미래지향적인 경주만들기 착수 장기종합발전계획안 초안 마련     경주시가 21세기 환동해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장기종합발전 마스트플랜 수립을 위해 조사한 주민의식 실태조사에서 경주시민들은 경주발전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과도한 규제‘를 꼽았다.   또 경주시의 삶의 여건은 좋아질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역사문화관광도시가 경주시의 미래상이라고 했다. 대구경북연구원이 이번 경주시 장기종합발전계획 수립과정에서 조사한 설문조사(1천부) 내용에 따르면 경주의 발전을 제약하는 원인으로 과도한 규제 51.4%, 지역기반산업취약 17.4%, 중앙정부 재정지원 미흡 12.7%, 행정 비능률 10.1%로 조사됐고,   삶의 여건변화에서는 좋아질 것 50.2%, 변화가 없을 것 39.3%로 나타났고 경주의 미래상은 광광도시 31.3%, 역사문화도시 30.9%, 첨단과학도시 10.0%로 나타났다.   경주역사 철거 후 활용에 대해서는 50.5%가 시민광장과 공원을 해야 한다고 답했고 경주시청사 21.7%, 유통센터 14.6%, 주차장 10.5%로 조사됐으며 동해남부선 활용에 대해서는 신라문화 상징 테마도로 조성 35.4%, 조깅코스 및 자전거도로 20.2%, 녹지대 조성 17.1%, 도로조성 13.7%, 신교통수단 도입 12.8%로 나타났다.   한편 경주시가 새 천년의 희망찬 미래지향적인 신도시를 건설하고자 용역비 2억원을 들여 대구·경북연구원에 의뢰해 추진하는 경주시 장기종합발전 계획수립은 2005년도를 기준연도로 잡고 올해부터 오는 2020년까지 15년간 경주시전역 1천328.87㎢를 대상으로 사회·경제, 과학·기술, 문화·환경, 교통, 관광, 도시계획, 사회복지, 정보화 등 전 부분에 걸친 용역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28일 오후 2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백상승 시장을 비롯한 김경술 부시장, 실국소장, 읍면동장 등 80여명과 용역처 연구원 등 총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주시장기종합발전계획수립 용역에 대한 중간 보고회를 개최해 토론 및 용역 추진에 따른 검토사항을 협의하고 지난 29일에는 경주시의회 전체 간담회에 보고해 시의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지난 5월에 경주시장기종합발전계획수립 용역을 계약한 후 지역여건분석과 기초조사, 기본현황 자료수집과 현장답사 및 각 분야별 전문가 자문과 의견을 수렴한 후 1천여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실시한 바 있는 대구경북연구원은 내년 2월과 3월경 공청회 및 최종 보고회를 개최한 후 마무리할 방침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