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로 “늙은 말의 지혜”를 노마지지(老馬之智)라 한다. 배울 점이 있으면 그 대상이 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춘추시대 중국 제나라 환공의 재상으로 있던 관중이 대부(大夫) 습붕이라는 사람과 함께 고죽이라는 나라를 침범하기 위해서 싸움터로 나갔다. 상당히 오랜 세월을 두고 끈 전쟁이었는데 봄이 가고 겨울이 돌아왔다. 관중과 그 군사들은 그 곳 지리에 밝지 못해 그만 길을 잃고 말았다. 이때, 싸움의 경험이 조금 있는 관중이 혼자서 중얼거렸다. “늙은 말의 지혜를 써 먹어야할 때가 지금이구나…”
그리하여 싸움에 몇 차례 동원되었던 늙은 말을 앞장 세우고 나머지 일행들이 뒤를 따르게 하여 귀국길을 찾아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계속 산 속을 가다보니 마실 물이 없었다. 동료 습붕이 하는 말이 “개미는 겨울철에는 산의 남쪽에 살고, 여름철에는 산의 북쪽에 산다고 합니다. 그것을 보고 방향을 알 수 있으며, 개미집은 땅보다 한 자(尺) 높은 곳에 있는데, 그 주변에는 반드시 물이 있습니다”
관중은 습붕의 말대로 개미집을 찾아서 땅을 파니 물이 솟아 나왔다.
이 이야기를 하고 한비자는 이런 결론을 내렸다. “관중의 총명과 습붕의 지혜로도 모르는 것은 늙은 말과 개미를 스승으로 삼아 배웠다. 그러나 그것을 부끄러움으로 여기지 않았다. 그런데 오늘날 사람들은 자신이 어리석음에도 성현과 노인의 지혜를 스승으로 삼아 배우려 하지 않는다. 이것은 너무나 큰 잘못이 아닌가?”하고 우리에게 교훈의 말씀을 남겼다.
집안에도 어른이 계시면 참 든든하고 아이 키우기에도 편하다. 경험에 바탕을 둔 어른들은 매사에 행함에서 배운 지혜를 생활에 제때 적용시켜 많은 이득을 보는 경우가 많다. 아이의 몸이 불편하면 집안 어른들은 그 원인을 금방 알고 처방을 준비한다.
농사일에도 많은 경험이 필요하고 절기에 따라 모든 일을 처리하는 지혜 모두가 세월에서 얻어진 경험이다. -‘늙은 원숭이는 덫에 걸리지 아니한다’, -‘지혜는 경험의 딸이다’, -‘경험에 의하여 지탱되어 있지 않은 사색가의 교훈을 피하라’, -‘최초에 지정하는 편이 최후에 지정하는 것보다 몇 배 편하다’, -‘우리들의 지식은 모두 경험에 근거를 둔 것이며, 지식은 결국 경험에서 생기는 것이다’, -‘경험이라는 것은 사람이 지식에 있어 진보하면 할수록 그 필요를 느끼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식의 샘인 금언(金言)들이 나이가 들고 세월이 던져준 경륜에서 시작됨을 깊이 생각하며 우리의 최고의 스승은 경험이며, 그 경험은 모두 지나간 시간이 남긴 귀한 것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