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본사 이전문제가 계층간의 이해대립으로 좀처럼 실마리를 풀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한수원 본사 노조가 실시한 자체 설문조사에서 경주 이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근로자가 75%에 이르고, 가족이 함께 이사하겠다는 직원은 겨우 17%에 불과했다고 한다.   한수원 측에 따르면 본사 이전은 2004년 1월 제정된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따른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2005년 3월 제정된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특별법에 따라 방폐장이 들어서는 자치단체에 이전토록 하는 이중 법률적용에 따른다고 했다.   여기서 우리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한수원 본사 이전은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 계획에 따른 170여개의 공공기관과는 입장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이다.   정부가 19년 동안 표류하던 중저준위방폐장을 위해 한수원 본사 이전을 조건으로 내 걸었던 것이고, 경주시민들은 이를 통해 경주를 살리겠다는 일념에서 방폐장 유치에 찬성한 것이다.   따라서 한수원 본사 이전에 대해 노조가 불만을 갖고 반대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 아닐 수 없다. 정치적인 변화에 따라 공공기관 이전이야 수틀리면 백지화 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한수원 본사 이전문제마저 그렇게 배부른 흥정을 할 수 있다고 착각한다면 큰 오산이 아닐 수 없다.   한수원 본사는 방폐장에 따른 필수조건인 것이다. 노조가 이전을 전제로 자신들의 입장을 내 놓을 수야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방폐장은 다시 표류할 수도 있다.   정부 또한 이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이제 와서 초기의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경주시민을 농락하려 든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 또 그 책임은 전적으로 정부가 져야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