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孫眞人養生銘云 怒甚偏傷氣 思多太償神神疲心易役 氣弱病相因 勿使悲歎極 當令飮食均 再三防夜醉 第一戒晨嗔 손진인의 양생명(養生銘)에서 이르기를 성내기를 심히하면 기운을 상하고 생각을 많이 하면 크게 정신을 소모한다. 정신이 피로하면 마음이 수고롭기 쉽고 기운이 약하면 그에 따라 병이 생긴다. 슬퍼하고 기뻐하는 것을 심하게 말며 음식을 마땅히 고르게 하며, 밤에 술취하는 것을 거듭 금하고 무엇보다 새벽에 성내는 것을 경계하라.   註 眞人-도가에서 참된 삶을 깨달아 도를 얻은 사람   39. 景行錄曰 食淡精神爽 心淸夢寐安 경행록에 이르기를 음식이 담박(淡泊)하면 정신이 맑아지고 마음이 맑으면 잠을 자도 평안하다.   40. 定心應物 雖不讀書 可以爲有德君子 마음가짐을 안정하여서 사물(事物)을 대한다면 비록 글을 읽지 않았더라도 덕이 있는 군자가 될수 있다.   41. 近思錄云懲忿 如救火 窒慾 如防水 근사록에 이르기를 분을 징계하기를 불끄듯이 하고 욕심 막기를 물막는 것처럼 하라.   42. 夷堅志云避色 如避住誰 避風如避箭莫喫空心茶 少食中夜飯 이견지에서 이르기를 여색 피하기를 원수 피하는 것과 같이 하고 바람 피하기를 화살 피하듯이 하라. 빈속에 차를 마시지 말고 한밤에는 밥을 적게 먹어라.   註 이견지(夷堅志)-중국(中國) 송(宋)나라의 학자인 홍매(洪邁)가 민가에서 있는 이상한 일이 난 이야기를 모은 설화(設話)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