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의회와 포항시의회가 지방의회 재출범 15년 만인 지난 10일 한자리에 모였다. 경주시와 포항시는 지리적으로나 생활권에서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지만 두 도시의 젖줄인 형산강 관리문제를 두고 그리 협조적이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날 양 시의회는 두 도시가 갖고 있는 공통과제를 풀고 동반발전 하는 방안을 찾기 위해 의견을 나눴다.   이날 토론에는 경주시의회를 초청한 포항시의회 박문하 의장의 진행으로 양 시의회의 의제를 설명하고 시의원들의 의견을 발표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포항시의회 김상원 운영위원장은 동남권 경북도청 유치와 한국은행 포항본부 존치, 형산강 수질오염 방지대책을 경주시의회 이진락 운영위원장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기관승격과 경주 포항 관광벨트화, 광역권 쓰레기처리시설 및 장례식장, 형산강 범람으로 인한 홍수피해 등을 의제로 내 놓았다.       ▶동남권 도청유치=김관용 도지사가 올해 안으로 경북도청 이전을 위한 가칭 ‘도청이전 100인 특별위원회’구성을 한다는 방침아래 이미 북부권에서는 도청 유치를 위해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반면 동남권 지역은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은 것에 대해 논의가 있었다.     양 시의회는 최근 김 도지사가 취임 100일 기념한 자리에서 도청 이전문제를 다시 거론한 것에 주목하고 “북부권은 유치위원회를 구성해 활동하고 있는 만큼 경주, 포항, 영천, 영덕 등 동남권은 소극적이다”며 동남권 장기발전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데 뜻을 같이했다. 시의원들은 도청이 경주와 포항에 오지 않더라도 영천지역이라도 오게 해 동남권 발전벨트를 형성해야 한다며 향후 함께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형산강 수질오염 및 홍수피해 대책=경주시와 포항시의 젖줄인 형산강은 양 도시의 입장차이가 있었던 문제다. 그동안 포항시는 수질보존을 위해 상수원 보호구역 확대에 따른 상류지역(경주시)을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두고 서로 의견이 맞지 않았다. 포항시는 보호구역확대지정과 환경기초시설 현대화 및 폐수배출시설에 대한 지도 단속강화를 경주시에 요구해 왔으며 경주시는 하수처리시설에는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므로 수혜자 부담원칙에 따라 예산 지원이 되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이날 포항시의회는 형산강을 살리기 위해 그동안 양 도시의 활동 등을 설명하면서 경주시의회의 협조를 당부했다. 이에 경주시의회는 현재 경주시는 형산강 수질 개선을 위해 하수종말처리장을 보완해 방류수가 아주 양호한 상태이며 재정이 열악하지만 BTL방식으로 1천억원을 들여 하수관리 사업을 하고 있다고 경주시의 입장을 이해해 달라고 했다.     ▶한은 포항지점 존치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기관 승격=최근 경주시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의 기관승격문제와 포항시의 한국은행 포항지점 존치에 대해 양 시의회는 서로 힘을 보태기로 했다. 향후 양 도시의 가장 난제로 다가올 수 있는 쓰레기 처리시설 설치와 장례식장 건립 등에 대해서도 광역권으로 해결한다면 예산절감 뿐만 아니라 국도비 예산확보에도 유리하다는 점을 들며 향후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상호교류 지속약속=이날 양 시의회는 경주시와 포항시가 인접해 있고 공동관심사가 있었지만 교류가 없었다며 협력 상대로서 인식을 같이하자는데는 공감대를 이끌어냈다. 양 시의회는 이날 첫 만남 자체에 의미를 두고 되도록 민감한 현안 등에 대한 논의는 하지 않았으며 향후 경주시와 포항시가 동반 발전하는 길을 찾기 위해 내용에 따라 양 시의회 상임위원회별로 협의를 하기로 했다.     최학철 의장은 “이번 만남은 당면현안과제를 풀어가는 공동협력체계를 구축해 새로운 발전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박문하 의장은 “이번 교류회를 통해 두 도시의 발전은 물론 경북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성주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