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전담부서 설치, 위원 확대를” 노인복지정책 다른 분야보다 잘 진행 (사)경주지역발전협 세미나 경주지역 각종 여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주시에 여성전담부서 설치와 예산증액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사)경주지역발전협의회 신혜경 위원(홍보이사)는 지난 12일 오후3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새로운 도약을 위한 경주시의 발전구상’세미나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신 위원은 이날 ‘경주시 여성정책의 평가와 추진방향’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경주시 여성공무원 수는 총 389명이나 5급 사무관이상 고위직 공무원은 보건소장 등 4명에 불과하다”며 “이는 시 인사문제가 여전히 남성위주로 이뤄지고 있으며 특히 인사, 예산, 기획을 담당하는 주요부서는 여성을 기피하는 경향을 보이고 여성 공무원 대다수가 하위직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 위원은 또 “현재 경주시의 각종 위원회에 여성위원의 비율이 24.5%지만 2007년까지 권장 목표치인 40% 달성을 위해서는 시급히 여성위원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신 위원은 “시가 여성정책의 추진이 어려운 것은 여성정책 전담부서가 따로 없어 일괄적인 조정업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여성 성폭력 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과 여성노인 지원 등 과제의 시급한 해결을 위해 여성정책 전담부서 설치는 물론 근본적인 예산확보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경주시 복지정책 중에는 노인복지정책이 가장 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세미나에서 박경일 교수(동국대 사회복지학과)는 ‘경주시 사회복지 수준과 정책과제’란 주제발표를 통해 “사회복지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경주시가 가장 잘 수행하고 있는 복지정책분야는 노인복지정책이 80.2%, 장애인복지 44.6%, 영세민(저소득층)복지 25.7%, 자원봉사 22.7%, 아동복지 19.8% 순으로 나타났다”며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치매노인문제와 가족해체나 가정폭력(51.0%), 실업자문제(38.2%), 영유아 교육(33.3%)”이라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각 시설별 해결해야할 현안은 아동, 장애인, 노인생활시설과 지역사회복지관, 여성복지시설, 자활후견기관, 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사협회 구성 등”이라고 지적했다. 이성주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