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신문과 함께하는 그때 그시절(1992년 6월 19일~6월 25일)
1.시군민 동참 도청유치위 발족
1992년 여름의 시작은 경북도청을 경주에 유치하자는 범 시군민의 동참으로 막을 올렸다.
그해 6월26일 경주상공회의소 강당에서는 학계, 경제, 종교계와 시·군의원, 그리고 각 사회단체 협회대표 130여명이 모여 경북도청을 경주에 유치하기 위한 범 시·군민이 함께 동참하는데 의견을 모았다.
이날 참석자들은 ‘경주에 도청이 이전할 수 있는 충분한 요건을 갖추고 있는데도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해 타도시보다 오히려 불리한 여건에 처하게 됐다’며 범 시·군민 도청유치위원회의 발족을 계기로 30만 경주시·군민이 뜻을 모아 도청을 유치하자는데 목소리를 높였다.
유치위는 체계적인 활동을 위해 외무, 운영, 홍보, 재정 등 4개 분과위원회를 만들어 조직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당시 도청이전문제를 적극 제기했던 경주지역발전협의회는 보우문화재단의 재정적인 후원으로 역사, 문화, 환경, 행정 등 4개 분야로 나눠 전문적인 연구를 했다.
연구 결과는 경주가 역사적·문화적 상징성, 행정상의 편의성과 효율성, 경제적 효율성과 형평성, 그리고 지역 기반의 적정성 등의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경주가 도청 이전지로서의 최적지라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
2.군지역 설치하려던 매립장 백지화
시지역에 광역매리장 설치키로 선회
경주시·군 광역쓰레기매립장을 경주군 지역에 설치하려 했던 경주시가 군민들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치자 계획 자체를 포기하고 새로운 부지 물색에 들어갔다. 경주시는 당시 이용하고 있던 천군동 산 29번지 일대의 쓰레기매립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이를 대체하기 위해 부지가 넓고 산간 오지가 많은 경주군 지역이 시군 광역매립장 설치에는 최적지라는 판단아래 경북도의 승인을 얻어 경주군 안강읍 사방리 천마산 일대를 비롯한 다섯 곳에 후보지를 선정, 현장 조사 등을 벌였다.
그러나 사방리 천마산 일대가 유력 후보지로 떠오르자 주민들이 반발했고 당시 안강읍 시의원이었던 최학철 의원이 군의회에 ‘광역 매립장 군지역 설치를 절대 반대한다는 내용의 결의안’을 군의회에 제출했고 군의회는 이를 만장일치로 통과시키면서 벽에 부딪치게 됐다.
결국 이 문제는 1년여를 계속 끌면서 당시 이원식 시장과 김재완 군수가 수차례에 걸친 공식협의까지 가졌음에도 사방리 주민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이는 등 최악의 상황을 맞아 군 지역 설치 자체를 백지화하고 시 자체에서 후보지를 선정하는 쪽으로 마무리됐다.
이같은 논란을 거듭하면서 차후에 생긴 곳이 현재 경주시가 사용하고 있는 천군광역쓰레기매립장이다.
이성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