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에 많은 농산물들이 생산되지만 그 중에서도 경주에는 안강을 중심으로 단감이 다량으로 수확되고 있다. 지역 단감 품목에는 부유를 비롯한 서촌이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고 특히 서촌의 경우 당도가 뛰어나 인기를 얻고 있다. 하지만 서촌 품종에 단감으로 수확되고 있는 생산량은 총 생산량에 약 70∼80%정도. 나머지는 떫은감으로 판매는 고사하고 1년 동안 재배한 감을 버려야만 하는 어처구니없는 일들이 벌어졌다. 지금까지 단감 생산 농가들은 버려지는 떫은감에 고민을 해야 했지만 어느 농촌여성의 10년이란 긴 시간을 투자한 결과 떫은감이 꿀 곶감으로 재생돼 농가 소득을 올리고 있다. ■버려지는 떫은 감 경주 지역에서는 안강을 중심을 대단위 단감 재배 농가가 형성돼 있고 이 곳에서 생산되는 단감은 서울을 비롯 부산, 대구 등 대도시에서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 같이 안강과 경주지역에서 생산되는 단감이 대도시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은 당도가 뛰어나고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는 단감 개별 박스 포장에 따른 떫은 단감의 포함량이 현저히 적게 나타나기 때문에 단감의 신뢰를 쌓아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간혹 비파기 선별기가 없는 생산 농가에서 수확돼 판매되는 단감의 경우 농민들이 떫은감을 선별하지 못해 시장에서 큰 혹을 치르는 일들이 간혹 발생했다. 이 경우 몇몇 박스에서 나온 떫은 단감으로 인해 지역 전체 단감에 대한 이미지가 떨어지고 신뢰도 또한 추락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농가들은 조금이라도 떫은 단감을 확실히 선별해야 만하고 자연히 발생되는 떫은 단감은 버려야만 하는 고충을 겪어야 한다. 떫은 단감 때문에 단감 농사를 포기 할 수도 없는 노릇. 감포읍 노동리에서 서촌 품종으로 9000천평의 단감을 재배하고 있는 이상조(48)씨 허정희(45)씨 부부도 떫은 단감에 대한 고민은 다른 농가들 못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허정희씨를 주축으로 경주시농업기술센터 생활개선회 회원 4명은 지난 93년부터 떫은 단감을 활용하기 위해 꿀 곶감을 만들기 시작 지난 2001년부터 생산 체제에 들어가 지금은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고향산들네 서촌 꿀 곶감 단감으로 곶감을 제조하는 방법은 일반 곶감보다 까다로워 현대화된 건조 시설에서 곶감 제조에 알맞게 건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술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기술을 습득하기까지 10년이란 시간을 투자해야만 했다. 감을 먹을 때 떫은 맛이 나는 것은 다른 과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타닌`이란 성분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이 성분은 수용성이며 떫은 맛을 내지만 불용성으로 변하면 단맛을 나타내기 때문에 곶감의 경우 떫은 맛보다 단 맛이 더욱 강해진다. 이러한 특성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서촌 품종에 더욱 현저히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때문에 고향산들네 서촌 꿀 곶감은 상주나 영동 지방에서 생산되는 곶감보다 당도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나고 있다. 이런 방법과 효능을 개발하고 증명한 고향산들내 서촌 꿀곶감 작목회 회원들은 경주시농업기술센터와 합작으로 곶감 가공 공장을 건립 `고향산들내 서촌 꿀곶감` 브랜드로 본격 출하고 있다. 작목회 대표 허정희씨는 "고향산들내 서촌 꿀곶감의 경우 그 동안 농가에서 버렸던 떫은 단감 10kg 기준 8,000천에 수거해 농가 소득에 일조하고 농한기 유휴 노동력을 이용한 고용창출 효과와 함께 지역 특산물로 자리 매김 할 것 같다"며 "2001년부터 생산되고 있지만 아직 상주나 영동 지역에서 생산되는 곶감에 대한 이미지에 밀려 그 맛에 우수성을 소비자들이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또 허 씨는 "앞으로 수효가 꾸준하게 늘고 있고 대형 유통 시장에서 문의가 많이 들어오고 있는 과정"이라며 "인터넷 상거래, 홈쇼핑 등을 통해 유통망을 구축하고 곶감 생산과 연계한 곶감 차, 곶감 분말 등 기능성 식품도 개발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번 애용한 소비자들은 다시 한번 찾는다는 고향산들내 서촌 꿀곶감, 현재는 전화 판매의 택배와 현지 판매, 건천(상)휴게소 농산물판매소에서 1kg 16,000원, 2kg 32,000원, 3kg 48,000원에 판매되고 있다. 문의 054-746-1297, 751-7082, 016-857-1297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